본문 바로가기

집합과 명제 문제 쉽게 푸는 팁 "집합과 명제" 문제 쉽게 푸는법 - 몇가지 팁만 익혀놓으면 쉽게 풀리는 명제 문제 풀이법 명제 문제는 집합과 부등식과 함께 연계해서 문제가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헷갈리기 시작하면 답이 없습니다. 몇가지 원칙만 암기해두면 어려운 부등식 연계문제만 빼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 팁은, 화살표는 항상 안에서 밖으로 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집합 P={0,1,2,3}와 집합 Q={1,2,3}가 있다고 하면, 집합관계는 그림처럼 Q는 P의 부분집합이며, 이는 P가 Q를 포함한다는 말도 됩니다. 기호로 표현하면,Q ⊂ P 위에서 정한것처럼 화살표는 항상 안에서 밖으로 향한다고 하였으니, 이를 명제로 표현하면 q → p q 이면 p 이다. 가 됩니다. 두번째 팁은 충분한 쪽이 필요.. 더보기
태풍이 불때 왜 파도가 크게 칠까? (태풍에 관한 이야기) SKA' 태풍이 부는 날은 어떤날? 태풍은 다른말로 열대성 저기압이라고 합니다.적도 부근에서 발생해서 고위도를 향해 진행하죠.열대성 저기압은 적도부근에서 강한 태양에너지를 받게 되면 바닷물이 증발하게 되고 증발하게 되면 밀도가 감소하여 위로 떠오르게 되면서 기압이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그리고 떠오른 공기가 태풍의 중심부에서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리누리기 때문에 태풍의 눈에서는 고기압을 형성하고 날씨가 맑은 것이죠.태풍을 옆에서 볼 때와 위에서 볼 때의 공기의 흐름입니다. 그리고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전향력 때문에 태풍은 북반구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우리가 일반적으로 태풍이 분다고 하면 날씨가 흐린 저기압권에 있을때를 말합니다.그리고 태풍이 보통 우리나라를 지나가게 되면 세력이 약해지거나 소멸되게.. 더보기
신재생에너지의 원리3. 태양광 에너지의 사용원리(태양광 발전의 종류) SKA' 들어가며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이루어낸 산업혁명은 지구의 환경파괴라는 결과를 낳았고, 정보화 사회가 일어나는데 큰 힘을 더했던 원자력 발전은 방사능이라는 전세계적인 위협으로 다시 우리에게 칼을 돌리고 있습니다. 일본 대지진 때 일어난 원전 사고는 원전을 반대하는 사람이든 찬성하는 사람이든 원자력은 위험한 에너지라는것에 찬성하게 만들었죠. 그러나 발전과 인구의 증가는 어쩔수 없이 전기의 사용증가와 이어지게 되었으며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환경을 파괴하지않고, 인간을 더이상 위협하지 않는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있겠네요. 이미 정부와 학계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사실 대기업은 아직 태양광발전 패널에만 진출해 있지요. 나머지 에너지.. 더보기
[물리1 요점정리] 전류의 자기작용(자기장, 자기력) 관련 수능기출문제 풀어보기 ↑↑↑↑위 배너를 클릭하면 자기력에 관한 내용설명으로 이동합니다.~↑↑↑↑ 자기장 관련 수능기출문제 한번 풀어BoA요~ 매년 한문제입니다. 한해도 거른적이 없습니다.문제는 평이합니다. 뒤집어 말하면 틀리면 뼈가 쓰리다는것이죠. 풀어보면 뭔가 공통점이 발견될겁니다.출발~ 문제 밑에 -ska의 풀이- 클릭하시면 해설 및 정답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SKA' 자기력 관련 수능기출문제 풀어보기 2005년 물리1 9번문제 원형도선 내부를 흐르는 자기장의 세기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오른나사 법칙과 자기장의 공식중에 두번째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겠네요. 친절하게도 상수 k'도 문제에 주어졌습니다. 원형도선 중심의 자기장의 세기는 다음 식으로 계산됩니다. 하나하나 차분히 계산해서 싹 더하면 됩니다. i) 반지름 d인 도.. 더보기
[물리1 요점정리] 전류의 자기작용 다른 포스팅을 하고있었는데 일단 급한 불부터 꺼달라는 간곡한 요청을 받고 급조된 포스팅 SKA' 자석이 만들어 내는 자기장 이런 그림 많이들 봤을 겁니다.자석에 철가루를 뿌리면 이렇게 N극에서 S극으로 가는 곡선을 그리는데 이 곡선 하나하나를 자기력선 이라고 합니다.자기력선의 특징으로는 (틀린거 찍는문제로 나오곤 합니다.)1. 항상 폐곡선을 이룬다. (끊어지지 않고 N극과 S극을 잇는 다는 말입니다.)2. 절대 도중에 만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3. N극에서 나와서 S극으로 들어간다. (자석 내부에서는 S극에서 N극으로 이동합니다.)4. N극에서 나오는 갯수와 S극으로 들어가는 자기력선의 수는 항상 같다.5. 자석은 아무리 잘게 쪼개더라도 N극과 S극을 갖는다. (자기쌍극) 자속(φ ; 퓌라고 읽습니다. .. 더보기
공학용 계산기 활용법 3. 공학용 계산기로 행렬 계산하기(연산, 역행렬 구하는법) 공학용 계산기 활용법을 알고있는 공대생이 과연 몇%나 될까요?몇만원짜리 계산기를 사인코사인 계산하는데까지만 활용하는 백만 공대인에게 이 포스팅을 바칩니다.제가 가지고 있는 계산기는 Sharp 에서 나온 EL-9600 모델입니다.(계산기 협찬해주신 D그룹 P대리의 조속한 과장진급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상당히 오래된 모델이긴 하지만, 공학용 계산기의 사용법은 크게 차이가 없으니 모델별로 약간 다른 메뉴는 찾아보세요.사용법 거의 똑같습니다.화면은 캡쳐가 불가능 하니 제가 직접 그려서 올릴께요.오늘은 공학용 계산기를 가지고 행렬문제를 푸는 방법입니다.방정식 계산, 정적분계산, 그래프 그리는법, 간단한 프로그래밍까지 계속 연재할꺼니까 구독!하시면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학도라면 늘상 풀어야 하는 이 행렬.. 더보기